맨위로가기

제1보병사단 (대한민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보병사단은 1947년 12월 1일에 창설된 대한민국 육군의 보병사단으로,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다부동 전투 승리와 평양 선봉 입성의 쾌거를 거두며 '전진부대'라는 별칭을 얻었다. 휴전 이후 비무장지대 경계 임무를 수행했으며, 2023년 12월에는 신병교육대대가 해체되었다. 현재는 1군단에 소속되어 있으며, 11, 12, 15보병여단, 포병여단 등을 예하 부대로 두고 있다. 부대 마크는 방패 모양에 숫자 1이 새겨져 있으며, '전진'이라는 부대 애칭은 이승만 대통령으로부터 받은 친필 휘호에서 유래했다.

2. 역사

1947년 12월 1일 송호성 준장을 초대 여단장으로 하는 제1보병여단으로 창설되어, 1949년 5월 12일 사단으로 승격되었다. 사단은 한국 전쟁 발발 이전부터 38선 경비 임무를 수행했으며, 1948년 송악산 5·4 전투에서는 육탄 10용사의 희생이 있었다.

한국 전쟁 발발 초기, 사단장 백선엽 대령의 부재 속에서 북한군의 기습 공격을 받아 큰 피해를 입고 후퇴했으나, 이후 전열을 정비하여 낙동강 전선의 다부동 전투에서 북한군의 공세를 성공적으로 막아내며 전쟁의 흐름을 바꾸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인천 상륙 작전 이후 반격 작전에 참여하여 1950년 10월 19일 대한민국 국군 중 가장 먼저 평양에 입성하는 전과를 올렸고, 이 공로로 이승만 대통령으로부터 '전진(前進)' 휘호를 받아 '''전진부대'''라는 별칭을 얻게 되었다.

1953년 휴전 협정 직전에는 베티 고지 전투에서 김만술 상사가 이끄는 소대가 중공군의 대규모 공격을 막아내는 등 전쟁 기간 내내 주요 전투에서 활약했다. 2023년 12월, 국방개혁의 일환으로 예하 신병교육대대가 해체되었다.[32]

2. 1. 창설

1947년 12월 1일, 송호성 준장을 초대 여단장으로 하는 제1보병여단이 창설되었다. 제1보병여단은 1948년 1월 초부터 38선 경비 임무를 수행하기 시작했으며, 특히 북한군의 침범이 잦았던 문산 북쪽 임진강 나루 일대의 경계를 강화하기 위해 병력을 파견하여 미군과 합동 근무를 실시했다.

1948년 5월 4일 발발한 송악산 5·4 전투에서는 박격포탄과 수류탄을 안고 적의 토치카로 돌진하여 장렬히 산화한 육탄 10용사의 숭고한 희생이 있었다. 이들의 용기와 헌신은 국가 수호를 위한 귀감이 되었다.

제1보병여단은 지속적으로 병력을 증강하여 1949년 5월 12일, 서울 근교에서 제1보병사단으로 승격하며 편성을 완료했다. 사단은 수원에서 창설된 제11연대, 군산에서 창설된 제12연대, 온양에서 창설된 제13연대를 기간으로 삼았으며, 이후 야전공병대대와 제6포병대대가 배속되어 당시 한국군 내에서 최정예 사단으로 평가받았다.

사단 승격 이후 제1보병사단은 경기도 문산 및 개성 지역 방어를 주 임무로 삼았으며, 해주에서 적성에 이르는 약 90km 구간의 38선 경비를 담당했다. 당시 사단 사령부는 수색에 위치했다.

2. 2. 한국 전쟁

6.25 전쟁 중 전선에서 식사를 준비하고 있는 1사단 장병들의 모습 (1951년)


1950년 6월 25일 새벽 4시, 북한군은 38도선 전역에 걸쳐 포격을 개시하며 한국 전쟁을 일으켰다. 제1사단은 개성과 문산 지역에서 북한 인민군 제1사단과 제6사단의 공격을 받은 최초의 대한민국 육군 부대 중 하나였다.[6] 당시 사단장 백선엽 대령은 육군본부의 명령으로 고급간부 교육 과정에 참여 중이었고, 최경록 부사단장이 부대를 지휘하고 있었다. 사단은 T-34 전차를 앞세운 북한군의 기습 공격에 직면하여 초기 대응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특히 처음 접하는 전차 공격에 큰 피해를 입었다. 제1사단은 임진강을 방어선으로 삼아 북한군의 남하를 저지하려 했으나, 26일 오후 전차의 공격으로 방어선 유지가 어려워지자 개전 전에 구축했던 예비 방어선인 봉일천으로 후퇴하여 전열을 재정비했다.

사단장 백선엽 대령의 복귀 후, 사단은 봉일천에서 반격을 시도했으나 전력 차이로 인해 실패했다. 우측방의 제7사단이 방어하던 의정부 축선이 무너지면서 북한군 일부가 서울로 진입했고, 28일에는 한강 다리가 조기에 폭파되면서 제1사단의 육상 퇴로가 차단되었다. 서울 함락 소식을 접한 사단 지휘부는 후퇴를 결정하고, 모든 포탄을 소진할 때까지 반격하는 척하며 주력 부대는 행주, 일부는 이산포에서 뗏목과 나룻배 등을 이용해 한강을 건너 시흥군으로 철수했다. 이 과정에서 대부분의 중화기를 잃고 병력 손실도 컸다. 이후 증평에서 부대를 재편성하며 제5사단 등을 흡수하여 병력을 5천 명으로 늘렸고, 기존 13연대와 새로 편입된 15연대를 통합하여 예하 부대를 11연대, 12연대, 15연대로 재편했다(15연대 명칭 변경은 낙동강 방어전 시기).

제1사단은 낙동강 전선까지 후퇴하여 다부동 전투에 투입되었다. 이 전투에서 미군과 협력하여 북한군 여러 사단의 공세를 성공적으로 막아내며 대구를 방어하고 부산 교두보를 지키는 데 결정적인 공헌을 했다.

인천 상륙 작전 성공 이후 시작된 반격 작전에서 제1사단은 미 제1군단에 배속되어 미 제24보병사단, 미 제1기병사단과 함께 북진했다. 특히 미 제1군단장은 "백선엽 사단에 포병만 지원해주면 미군 사단과 동등하게 싸울 수 있다"고 평가하며 미 제10고사포병단의 화력 지원을 결정했고, 이는 제1사단이 미군 사단 수준의 전투력을 발휘하는 데 기여했다. 제1사단은 북한군의 방어선을 돌파하고, 1950년 10월 19일 대한민국 국군 중 가장 먼저 평양에 입성하여 도시를 점령하는 쾌거를 이루었다.[7] 다음 날인 10월 20일, 평양 선봉 입성의 공로로 사단 전 장병은 1계급 특진했으며, 이승만 대통령은 제1사단에 대통령 부대 표창과 함께 '전진(前進)'이라는 휘호를 수여했다. 이후 제1사단은 '''전진부대'''라는 별칭으로 불리게 되었다.

평양 점령 후 북진을 계속하던 제1사단은 1950년 10월 25일 운산 부근에서 중국인민지원군과 처음으로 조우하고 교전을 벌였다. 포로 심문을 통해 중공군의 개입을 확인한 제1사단은 이후에도 계속된 중공군의 공격에 맞섰다.[8] 특히 중공군 제39군에 의해 포위되기도 했으나, 원형 진지를 구축하고 방어에 성공하며 미 제1군단의 우측방을 보호했다. 11월 1일에는 운산 북쪽에서 중공군의 대규모 공격을 받았고, 예하 제15연대가 큰 피해를 입었으나 제1사단의 분전은 미 제1기병사단의 안전한 후퇴를 가능하게 했으며, 미 제8군 전체의 전선 붕괴를 막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평가를 받는다.[9]

1950년 11월 하순, 유엔군의 크리스마스 공세에 참가했으나 중공군의 반격으로 후퇴하게 되었다. 제1사단은 미 제24사단의 우익을 엄호하며 질서 있게 후퇴했고, 12월 초 평양 철수 작전에서는 후위를 담당했다. 당시 서부전선에 투입된 한국군 4개 사단 중 유일하게 건제를 유지하며 38도선까지 후퇴하는 저력을 보였다. 이후 다시 임진강 방어선에 배치되었으나 중공군의 정월 공세로 다시 후퇴했다.

1951년 1월 하순부터 반격을 시작하여 3월 중순 서울을 재수복했다. 4월 22일 시작된 중공군의 춘계 대공세(4월 공세)로 임진강에서 다시 밀려났으나 전선을 유지했으며, 4월 25일에는 예하 제12연대가 영국군 제29여단 글로스터셔 연대 병력 일부를 구출하기도 했다. 5월에는 다시 임진강까지 진출했다. 이후 전선이 고착화되면서 임진강 부근의 고지들을 중심으로 치열한 공방전이 벌어졌다. 1952년에는 전라북도 남원 및 경상남도 밀양 지역에서 공비 토벌 작전을 수행한 뒤, 다시 전선에 복귀하여 연천군 북서부 지역의 방어를 담당했다.

1953년 7월, 휴전 협정 체결을 앞두고 베티 고지에서 중요한 전투가 벌어졌다. 당시 제11연대 소속 김만술 상사(전투 직후 소위로 현지 임관)가 이끄는 1개 소대가 중공군 2개 대대 규모의 파상 공세를 막아내는 큰 전과를 올렸다. 이 공로로 김만술 소위는 태극무공훈장과 미국 수훈십자장을 수여받았고, 소대원들은 '베티 고지의 영웅들'로 불리며 칭송받았다.[10][11]

전쟁 기간 동안 제1사단은 미군으로부터 155mm 야포와 M36 구축전차 등을 지원받아 전투력을 강화하고 여러 전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2. 3. 휴전 이후

휴전 이후 1978년 10월에는 북한이 남침을 위해 만든 제3땅굴을 발견하였다. 1995년 무장공비 완전 소탕 작전을 비롯하여 총 9차례의 대간첩 작전을 수행하였다.

2023년 12월에는 병력 자원 감소 추세에 따라 1군단 예하의 제1, 9, 25사단의 신병교육대대가 해체되었다.[32]

3. 편성

현재 육군 1군단 예하 부대이다.[2][3] 사단은 여러 개의 여단과 직할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예하 부대로는 제11보병여단, 제12보병여단, 제15보병여단, 포병여단 등이 있다. 상세한 편제는 아래 하위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3. 1. 현재 편성

훈련 중 행군하고 있는 제1보병사단 장병들


국기게양식을 마치고 행진하고 있는 제1보병사단 장병들


현재 편제는 다음과 같다.[2][3]

  • '''사단본부'''
  • '''제11보병여단''' (별칭: 육탄부대, K808 장갑차 장착)
  • '''제12보병여단''' (별칭: 쌍용부대)
  • * 1948년 5월 1일 군산에서 제12연대로 창설되었으며, 초대 연대장은 백인엽 중령이었다.[4] 처음에는 독립 부대였으나, 1949년 5월 제1사단에 배속되었다.[4] 낙동강 방어선 전투 등에 참전했다.[4]
  • * 도라전망대를 관리한다.
  • '''제15보병여단''' (별칭: 무적칼부대, K808 장갑차 장착)
  • '''포병여단''' (K9 자주포 장착)[5]
  • '''사단 직할대'''
  • * 본부근무대
  • * 공병대대
  • * 전차대대 (K1 전차 장착)
  • * 수색대대
  • * 의무근무대
  • * 정보통신대대
  • * 군수지원대대
  • * 방공중대
  • * 화생방지원대
  • * 군사경찰대
  • * 보충중대
  • * 항공대
  • * 군악대
  • * 대전차중대
  • * 비무장지대 수색중대

3. 2. 과거 편성

제1보병사단은 창설 초기에는 제11연대, 제12연대, 제13연대로 편성되었다. 이후 6.25 전쟁 중 제13연대가 제15연대로 개편되었다. 과거 주요 연대의 별칭은 다음과 같다.

연대별칭
제11연대육탄부대
제12연대쌍룡부대
제15연대무적나이프부대


4. 역대 지휘관

사단장재임 기간출신교·기수전직후직비고
한자/가타카나 표기원어 표기
1송호성송호성 (宋虎聲)1947.12.1 - 1948.2.5함단(邯鄲) 군사강습소
경사(警士) 2기
준장
경비대 총사령관 겸
2이응준이응준 (李應俊)1948.2.5 - 1949.1.6일본 육사 26기
군영(軍英) 1기
제3보병사단장참모총장대령
3김석원김석원 (金錫源)1949.1.7 - 1949.10.1일본 육사 27기예비역대령
4유승렬유승렬 (劉升烈)1949.10.1 - 1950.4.22일본 육사 26기제2사단장제3사단장대령
5백선엽백선엽 (白善燁)1950.4.22 - 1950.10.23봉천군관학교 9기제5사단장제2군단장대령, 7월 25일 준장
6최영희[12]최영희 (崔榮喜)1950.10.23 - 1950.10일본 육군 공병학교
군영 1기
부사단장부사단장대령
7백선엽백선엽 (白善燁)1950.10 - 1951.4.6봉천군관학교 9기제2군단장제1군단장준장
8강문봉강문봉 (姜文奉)1951.4.6 - 1951.7.2동덕대 4기총사령부 작전교육처장제2군단 부군단장준장
9박임항박임항 (朴林恒)1951.7.4 - 1953.5.9동덕대 1기참모총장 비서실장미 제1군단 부군단장준장
10김동빈김동빈 (金東彬)1953.5.9 - 1954군영 1기제7사단 포병단장제2군 참모장준장
임충식임충식 (任忠植)1955 - 1956.11경사 1기인사국장제2사단장
박경원박경원 (朴璟遠)1956[13] - 1957.8[14]경사 2기제4군단 포병사령관제27사단장
유흥수유흥수 (劉興守)1957.8[14] - 1959.4.15[15]군영 1기제6관구 사령관제3관구 사령관
김봉철김봉철 (金鳳喆)1959.7.6[16]경사 1기
박중윤박중윤 (朴重潤)건국대학교
서울대 경제
육사 7기
육보학교장
이병형이병형 (李秉衡)1962.3.20 - 1964.1.13[17]육사 4기제1군단 작전처장육본 작전참모부 차장
박영석박영석 (朴榮錫)1966.03 - 1968.04[18]육사 5기제30사단장예비역준장
22김봉수[19]김봉수 (金鳳壽)1974 - 1976육사 8기제5공수특전여단장제3군수사령관
23우종림우종림 (禹鐘淋)1976[20] - 1978.1.23종합 14기청와대 경호실 행정차장보
24전두환전두환 (全斗煥)1978.1.23 - 1979.3.5육사 11기청와대 경호실 차장보보안사령관준장, 하나회
25황관영황관영 (黃瓘泳)1980 - 1981육사 12기육본 본부사령관[21]
26김을권김을권 (金乙權)1981 -육사 13기계엄위원회 기획관리실장제2훈련소장
김동진김동진 (金東鎮)1985 - 1987육사 17기국방부 장관 보좌관국방부 정책기획관[22]
32길형보길형보 (吉亨寶)1991 - 1993육사 22기제203특공여단장국방부 전력계획관
34이강언이강언 (李康彦)1995? - 1996육사 25기국방부 정책기획관국방부 정책기획국장
35조남진조남진 (曺南鎭)1996 - 1998육사 26기제3야전군 작전처장교육사 교의발전부장[23]
36송영근송영근 (宋永勤)1998 - 2000.11.6육사 27기국방부 장관 인사보좌관3사관학교장
37송기석송기석 (宋基錫)2000.11.6[24] - 2002육사 29기제3군 작전처장합참 작전부장[25]
38김경덕[26]김경덕 (金暻德)2002 - 2004육사 30기국방부 군비관제실 차장육군발전위원회 정책실장
39정승조정승조 (鄭承兆)2004 - 2005육사 32기제3군 작전처장자이툰 부대장
40황중선[27]황중선 (黃重善)2005 - 2006.4.25[28]육사 32기합참 작전처장자이툰 부대장
41이성호이성호 (李聖浩)2006.4.25 - 2008.4.4육사 33기합참 작전처장합참 작전부장[29]
42신현돈신현돈 (申鉉惇)2008.4.4[30] - 2010?육사 35기합참본부 전략기획차장합참본부 작전기획부장
44하창호하창호 (河昌浩)2012.6.7 -육사 39기육본 군수조직개편차장
45하창호하창호 (河昌浩)2013.11.4 -육사 39기국방부 정책기획관
46이종화이종화 (李鍾和)2015.4.14 -육사 42기


5. 상징

부대 마크는 방패 모양에 숫자 "1"이 새겨진 형태로, 한국군 최초의 부대 마크이다. 북진 중이던 1950년 10월 3일에 공식적으로 제정되었다. 그 이전에는 낙동강 반격전 당시 백선엽 사단장이 적과 아군을 식별하기 위해 하트(심장) 모양의 노란색 천으로 표시하여 사용하였다. 마크의 방패는 국가의 기초인 군의 중추적 역할을, 숫자 1은 부대 번호를 상징한다. 숫자의 빨간색은 단결과 충성심을, 노란색은 군과 민주주의를 수호하는 국민의 평화애호심을, 파란색은 청순하고 영원무궁한 국가의 방패를 의미한다.

부대 애칭인 '''전진'''은 1950년 10월 19일 평양에 입성하여 북한 중앙정부 청사에 태극기를 게양한 것을 기념하여 이승만 대통령으로부터 "전진"이라는 친필 휘호를 받은 데서 유래한다. 이 애칭은 1966년 6월 20일에 부대에서 공식적으로 제정되었다.

또한, 1949년 5월의 송악산 탈환전에서 포탄을 안고 돌진하여 전사한 10명의 장병은 육탄십용사로 불리며 부대의 중요한 상징으로 기려지고 있다. 대한민국 육군은 2001년부터 매년 최우수 부사관 10명을 선정하여 육탄십용사상을 수여하고 있다.

6. 사건/사고


  • 2002년 2월 19일, 제1보병사단 12연대 1대대 2중대 3소대가 경계 임무 중이던 GOP 부근 초소에서 조선인민군 상급병사 주성일(당시 22세)이 경의선 남측 최북단 도라산역 인근으로 귀순했다. 귀순자는 당시 경계병이었던 하재훈 병장과 양승섭 이병에 의해 발견되었다.[33]
  • 2012년, 파주시 관내 철책 경계소에서 총기 사망 사건이 발생했다.[31]
  • 2015년 8월 4일, 파주시 비무장지대(DMZ)에서 수색 작전 중이던 대한민국 육군 제1보병사단 장병 2명이 조선인민군이 군사분계선을 넘어와 매설한 목함지뢰에 의해 중상을 입은 사건이다. 이는 정전협정을 위반한 북한의 명백한 군사 도발 행위로 간주된다.

참조

[1] 웹사이트 ROK Army History – South Korea http://www.globalsec[...] Globalsecurity.org 2010-06-01
[2] 웹사이트 1st Infantry Division http://www.globalsec[...]
[3] 뉴스 차륜형 장갑차·K1전차…육군 1사단, 파주 일대에서 전술훈련 https://www.yna.co.k[...] 2022-03-24
[4] 서적 The Korean War: The Outbreak http://www.history.a[...]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10-07-19
[5] 웹사이트 육군 1군단 임인년 새해 첫 포탄 사격 훈련 https://www.yna.co.k[...]
[6] 서적 The Korean War: The Outbreak http://www.history.a[...]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10-07-19
[7] 서적 The Korean War: The UN Offensive http://www.history.a[...]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10-07-19
[8] 서적 The Korean War: The UN Offensive http://www.history.a[...]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10-07-19
[9] 서적 The Korean War: The UN Offensive http://www.history.a[...]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10-07-19
[10] 뉴스 1000여명 중공군 공세를 34명으로 막아낸 한국전쟁 영웅 김만술 특무상사 http://premium.chosu[...] 2015-12-25
[11] 웹사이트 Man Soul Kim http://valor.militar[...] Military Times 2015-12-25
[12] 웹사이트 歴代の指揮官 https://archive.is/4[...] 前進ネット 2016-05-21
[13] 웹사이트 朴璟遠 http://encykorea.aks[...] 民族文化大百科事典 2016-05-21
[14] 뉴스 師團長級異動 http://www.busan.com[...] 2019-10-24
[15] 뉴스 政府人事 http://www.busan.com[...] 2019-10-24
[16] 뉴스 陸軍將星級異動 http://www.busan.com[...] 2019-10-24
[17] 웹사이트 이병형 http://kmaaa.or.kr/d[...] 陸軍士官学校総同窓会 2015-12-14
[18] 웹사이트 朴榮錫 http://www.visionkor[...] 韓国人物情報・ビジョンコリア 2017-08-13
[19] 웹사이트 陸軍少将金鳳壽 http://dnc.go.kr/_pr[...] 国立大田顕忠院 2016-08-18
[20] 웹사이트 禹鐘淋 http://dnc.go.kr/_pr[...] 国立大田顕忠院 2016-01-01
[21] 웹사이트 将軍たちの夜10時30分(2) https://www.chogabje[...] 趙甲濟ドットコム 2017-08-13
[22] 뉴스 <月曜インタビュー>国防舵取り二ヶ月 金東鎮国防長官(''<월요인터뷰>國防 조타 두달 김동진 국방장관'') http://news.joins.co[...] 2016-08-18
[23] 웹사이트 曺南鎭 http://www.kyobobook[...] インターネット教保文庫 2016-06-08
[24] 뉴스 新泰仁出生ソン・ギソク氏少将の昇進「1師団長」赴任(''신태인출생 송기석씨 소장승진'1사단장' 부임'') http://www.jnewsk.co[...] 2016-05-25
[25] 뉴스 軍、将軍105人進級人事...空軍政訓兵と「最初の星」(''군,장군 105명 진급인사...공군 정훈병과 '첫 별' '') http://www.hankyung.[...] 2016-05-25
[26] 뉴스 国防部、国防改革室長に金暻徳さん任用(''국방부, 국방개혁실장에 김경덕씨 임용 '') http://www.dailynk.c[...] 2016-05-25
[27] 뉴스 軍将星定期人事... 20人進級 - 補職変更(''軍장성 정기인사…20명 진급-보직 변경'') http://news.donga.co[...] 2015-11-18
[28] 뉴스 ザイトゥーン部隊長 黄重善少将内定(''자이툰부대장 황중선 소장 내정'') http://www.nocutnews[...] 2016-05-25
[29] 뉴스 <プロフィール>李聖浩安全行政府第2次官(''<프로필> 이성호 안전행정부 제2차관 '') http://www.yonhapnew[...] 2016-05-25
[30] 이미지 42代目師団長就任式の画像 http://bemil.chosun.[...]
[31] 웹사이트 息子の自殺を疑う母の戦い…死亡記録を提出しない軍相手に勝訴 http://japan.hani.co[...] 2021-10-24
[32] 뉴스인용 [빈터 된 군부대] ① 1사단·9사단·25사단 신교대도 문 닫았다 https://www.yna.co.k[...] 2024-06-01
[33] 뉴스인용 북한군 1명 도라산역 인근 귀순 https://n.news.naver[...] 2024-06-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